로 끝나는 네 글자의 단어: 288개

한 글자:1개 두 글자:167개 세 글자:118개 🌸네 글자: 288개 다섯 글자:169개 여섯 글자 이상:157개 모든 글자:900개

  • 호만 징 : (1)무릎을 구부리고 발목을 천천히 등쪽으로 굽힐 때 생기는 장딴지의 통증. 다리 정맥의 혈전을 말한다.
  • 임내 기 : (1)기후 완화 작용을 하는 숲의 특성을 고려하여, 숲속과 숲 밖의 기후가 다른 점을 나타내기 위해 숲속의 특이한 기후를 이르는 말.
  • 레리 징 : (1)반마비 환자가 마비된 쪽의 손목을 수동적으로 굽혔을 때 팔꿈치를 자신의 의지에 따라 굽힐 수 없는 증상.
  • 산림 기 : (1)산림 안에서 형성되는 특수한 기후.
  • 문성 왕 : (1)고려 정종의 비(?~?). 성은 박(朴). 승주(昇州) 출생으로 삼중대광(三重大匡) 박영규(朴英規)의 딸이다. 문공 왕후, 동산원 부인과 친자매간이다.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.
  • 오목 징 : (1)피부 섬유종에서 병터를 눌렀을 때 움푹 들어가는 증상. 피부 섬유종과 결절 흑색종을 감별할 때 도움이 된다.
  • 장목 왕 : (1)고려 충렬왕의 비(1259~1297). 이름은 홀도로게리미실(忽都魯揭里迷失). 중국 원나라 세조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서 원나라에 체류할 때에 결혼하였으며 충선왕을 낳았다.
  • 혹전혹 : (1)때로는 앞서고 때로는 뒤서기도 함.
  • 백색 부 : (1)죽은 나뭇가지의 배 면에 백색을 띠는 특정의 균류가 기생하면서 조직이 썩는 현상.
  • 난방 기 : (1)난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의 변화, 열량 따위가 영향을 미쳐서 형성된 기후. 주로 건축학에서 연구된다.
  • 용목 왕 : (1)고려 정종의 비(?~?). 성은 이(李). 충청도 부여 출생으로 공부 시랑 이품언(李稟焉)의 딸이다. 딸은 도애 공주이다.
  • 미세 기 : (2)지면에 접한 대기층의 기후. 보통 지면에서 1.5미터 높이 정도까지를 그 대상으로 하며, 농작물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.
  • 단지 기 : (1)일정한 구역이 조성하는 특수한 기후. 일반적으로 주위의 전원(田園)에 비하여 기온이 높고 습도가 낮으며, 건물 사이에서 현저한 풍속(風速)의 차가 나타난다.
  • 인공 기 : (1)온도, 습도, 기압 따위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실내의 기후.
  • 효공 왕 : (1)조선의 추존왕 목조의 비(?~?). 성은 이(李). 평창(平昌) 출생으로, 태조 이성계의 고조모이다.
  • 태상황 : (1)황제의 살아 있는 어머니.
  • 산솜 징 : (1)승모판 협착 때 둘째 심장음이 뚜렷이 겹치는 징후.
  • 부채 징 : (1)바빈스키 징후가 완전하게 나타날 때, 발가락을 모두 펴는 증상.
  • 일몰 징 : (1)위쪽을 쳐다보지 않는데도 위 눈꺼풀이 치켜져 흰색의 공막이 보임으로써 홍채가 아래 눈꺼풀로 해가 넘어가듯 가라앉는 것같이 보이는 징후. 신생아에게 이러한 증후가 나타나는 것은 신경학적 손상을 암시하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대개 후유증 없이 깨끗해진다.
  • 구델 징 : (1)자궁목과 질이 부드러워지는 증상. 대개 임신 초기에 나타난다.
  • 태양 기 : (1)지구를 전혀 대기가 없는 완전한 구로 가정하였을 때 나타나는 가상적인 기후. 태양의 위치와 지구의 위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태양의 복사량만을 대상으로 삼는다.
  • 도시 기 : (1)도시 특유의 기후. 도시의 넓이나 인구, 가옥의 밀집 상태, 도로의 상태, 산업 활동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고, 대체로 주변 지역에 비하여 고온 저습하며 일사량이 적다.
  • 컬렌 징 : (1)배꼽 주위의 피부가 퍼렇게 되는 증상. 복막 안의 출혈, 특히 자궁 외 임신의 파열 징후이다.
  • 함유징 : (1)일정한 지층 구역에 원유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 주는 징후. 물 위에 떠 있는 원유 표막, 땅속에서 나오는 원유 가스, 원유가 배어 있는 돌, 유화 수소가 많이 나는 샘물 따위가 있다.
  • 손목 징 : (1)손가락이 길어서 엄지손가락 끝과 새끼손가락 끝을 맞대면 반대쪽 손목을 감을 수 있는 특징.
  • 콴트 징 : (1)구루병에서, 뒤통수뼈에 생기는 ‘T’ 자 모양의 오목 부위. 특히 뒤통수에 압박을 받는 침대에 계속 누워 있는 영아에게 나타난다.
  • 불고전 : (1)일의 앞뒤를 돌아보지 아니함.
  • 머피 징 : (1)숨을 들이쉬는 동안 오른쪽 갈비뼈 밑 인근 부위를 만지면 통증이 생기는 증상. 급성 담낭염에 걸렸을 때 흔히 동반된다.
  • 주거 기 : (1)인간의 생활에 관계하여 주거 내에 형성되는 기후적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. 또한 주거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를 포함할 수 있다.
  • 소혜 왕 : (1)조선 덕종의 비(1437~1504). 불경에 조예가 깊어 범(梵), 한(漢), 국(國) 3자체로 쓴 불서(佛書)와 부녀자의 예의범절을 위한 ≪여훈(女訓)≫을 남겼다.
  • 동안 기 : (1)대륙 동쪽 연안에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.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, 여름에는 고온 다습하고 겨울에는 저온 건조하다.
  • 갈색 부 : (1)다당류만을 선택적으로 분해ㆍ흡수하는 갈색 부후균에 의하여 목재가 암갈색이나 적갈색으로 변하며 썩는 일.
  • 관습 징 : (1)사회적, 언어적 관습을 통하여 기능을 획득하는 징후.
  • 홈통 징 : (1)어깨 관절에서 오목 테두리의 앞 안쪽 부분에 생긴 결함으로 뒤쪽으로 탈구가 일어나는 상태.
  • 정순 왕 : (1)조선 단종의 비(妃)(1440~1521). 성은 송(宋). 의덕왕 대비에 봉하여졌으나,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자 부인(夫人)으로 강봉되었다. 노산군이 단종으로 추복(追復)됨으로써 정순 왕후가 되고 신위(神位)가 창경궁으로 옮겨졌다. (2)조선 영조의 계비(1745~1805). 성은 김(金). 사도 세자를 반대하는 벽파(僻派)와 손을 잡고, 반대파인 시파(時派)를 탄압하였다. 순조가 즉위하자 수렴청정을 하면서, 천주교 금지령을 내리고 신유박해를 일으켰다.
  • 천상 모 : (1)‘성모 마리아’를 달리 이르는 말.
  • 명성 왕 : (1)조선 현종의 비(妃)(1642~1683). 성은 김(金). 숙종과 세 공주를 낳았다.
  • 국소 징 : (1)어떤 감각을 다른 감각으로부터 공간적 위치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구별하게 해 주는 감각의 특성.
  • 천고불 : (1)영원히 썩지 아니하고 없어지지 아니함.
  • 한대 기 : (1)툰드라 지역과 영구 동토 지역에 나타나는 기후.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10℃ 이하이며, 수목은 자라지 않는다. 툰드라 기후와 빙설 기후로 나눈다.
  • 순목 황 : (1)발해 제9대 간왕의 비. 중국 길림성(吉林省) 화룡시(和龍市) 용두산(龍頭山) 발해 고분군에서 묘가 발견되어 알려졌다.
  • 유잉 징 : (1)이마굴 바닥을 누를 때 생기는 통증. 이마굴염이 의심된다.
  • 입술 비 : (1)입술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증상.
  • 러셀 징 : (1)폭식증 환자의 손등에 생긴 까진 상처와 흉터. 대개 스스로 구토를 유도할 시에 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긴 흔적이다.
  • 공예 태 : (1)고려 인종의 비(妃) (1109~1183). 성은 임(任). 중서령 원후(元厚)의 딸로, 인종 때 연덕 궁주(延德宮主)가 되어 임금의 총애를 받았다.
  • 부리 징 : (1)이완 불능증의 식도 조영 사진에서 아래쪽 식도의 모양. 선천 날문 협착증의 상부 위장관 조영 사진에서 몸쪽 날문관을 가리키기도 한다.
  • 칠십이 : (1)음력에서 자연 현상에 따라 닷새를 한 후(候)로 하여 일 년의 기후(氣候)를 72로 나눈 것.
  • 당랑재 : (1)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• 후미척 : (1)‘후위대’의 북한어.
  • 태목 왕 : (1)고려 광종의 비(?~?). 성은 황보(皇甫). 태조와 신정 왕후(神靜王后)의 딸로, 아들은 경종이다.
  • 효숙 왕 : (1)고려 경종의 비(?~?). 성은 황보(皇甫). 고려 추존왕 대종의 딸이다. 헌애 왕후와 친자매로 함께 경종의 비가 되었으며, 경종이 죽은 뒤 삼촌인 욱(郁)과 통정하여 현종을 낳았다.
  • 이금이 : (1)지금으로부터 이후.
  • 류탸오 : (1)중국 랴오닝성(遼寧省) 선양(瀋陽) 북쪽에 있는 지역. 1931년에 일본의 관동군(關東軍)이 스스로 남만주 철도를 폭파하여 만주 사변을 일으켰던 곳이다. 지금까지 폭파 지점은 ‘류탸오거우(柳條溝)’라고 되어 있으나, 이는 당시의 신문 오보(誤報)에 의하여 퍼진 것이다.
  • 임신 징 : (1)임신한 모체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이르는 말. 태동 감지, 태아음 청위 따위의 확징과 발정 주기 정지, 복부 팽대, 유방 발육, 식욕 증진, 외음부 변화 따위의 불확징이 있다.
  • 호른 징 : (1)충수염이 있을 때, 오른쪽 정삭을 당기면 통증이 생기는 상태.
  • 수군우 : (1)조선 시대에, 충청도ㆍ경상도ㆍ전라도에 있는 수군의 수영에 속한 정사품 외직 무관(外職武官)의 벼슬. 수군첨절제사의 다음가는 직위이다.
  • 적도 기 : (1)적도를 중심으로 위도 약 5도 이내 지역의 고온 다습한 기후. 쾨펜의 기후 분류에서는 열대 우림 기후에 포함된다. 연평균 기온이 25℃ 이상이고 연교차는 5℃ 이하이며 일교차가 연교차보다 크다. 매일 오후 6시쯤에 비를 내리는 스콜이 나타난다.
  • 월경 척 : (1)국경을 넘어 적진의 사정을 염탐하던 일을 이르던 말.
  • 무리 징 : (1)죽은 태아에서 머리의 피하 지방층이 솟아 머리뼈 바깥에서 달무리처럼 보이는 증상. 태아가 사망할 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방사선 징후이다.
  • 생명 증 : (1)맥박, 호흡, 체온 등 생명 활동의 기본 증세.
  • 정의 왕 : (1)고려 순종의 비(?~?). 성은 왕(王). 종실인 평양공(平壤公)의 딸이며, 소생은 없다.
  • 누운공 : (1)눕혀 놓고 연주하는 공후. 나무로 배 모양을 만들고 소나 양의 힘줄로 줄을 메웠다.
  • 서랍 징 : (1)무릎 진찰에서, 압박을 가할 때 정강뼈가 앞쪽이나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일. 앞쪽 미끄럼은 앞 십자 인대, 뒤쪽 미끄럼은 뒤 십자 인대가 느슨해지거나 찢어졌을 때 나타난다.
  • 양계우 : (1)조선 시대에, 함경북도와 평안도의 병마절도사 바로 아래에 두었던 벼슬.
  • 안정 왕 : (1)조선 정종의 비(1355~1412). 성은 김(金). 월성 부원군(月城府院君) 김천서(金天瑞)의 딸이다. 능은 황해북도 개풍군 영정리에 위치한 후릉(厚陵)이다.
  • 선평 왕 : (1)고려 인종의 비(?~1179). 성은 김(金). 병부 상서(兵部尙書)였던 김선(金璿)의 딸로 소생은 없다.
  • 인현 왕 : (1)조선 숙종의 계비(1667~1701). 민유중의 딸로, 숙종 7년(1681)에 왕비가 되었으나, 장 희빈의 농간으로 폐위되었다가 다시 복위되었다.
  • 봉건 제 : (1)봉건 시대에 일정한 영토를 가지고 그 영내의 백성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지던 사람.
  • 유전유 : (1)앞뒤가 같음.
  • 종속 징 : (1)어떤 병에서 자주 관찰되지만 일정하게 나타나지는 않아서 그 병의 특징적인 징후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단에 사용하지 않는 징후.
  • 가순 황 : (1)중국 청나라 동치제의 황후(1854~1875). 아로특씨(阿鲁特氏)이며, 슬하에 자녀는 없다. 시호는 효철가순공단헌천창성의황후(孝哲嘉順恭端憲天彰聖毅皇后)이다.
  • 해방 전 : (1)이태준이 지은 단편 소설. 일제 강점기에 지조를 잃지 않기 위하여 문필 활동을 그만두고 낙향한 주인공의 생활과 광복 직후에 혼란한 상황 속에서 그가 겪는 갈등을 다루고 있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다.
  • 정숙 왕 : (1)조선 익조(翼祖)의 비(?~?). 성은 최(崔). 호장(戶長) 최기열(崔基烈)의 딸이다. 태조의 증조모로 슬하에 6명의 아들을 두었다. 능은 숙릉(淑陵)이다.
  • 성정 왕 : (1)신라 성덕왕의 비(?~?). 소판(蘇判) 김원태(金元泰)의 딸로, 아들은 중경(重慶)이다. 성덕왕 4년(704)에 왕비로 책봉되었다가, 성덕왕 15년(716)에 궁궐에서 쫓겨나 민가에서 살았다.
  • 측천무 : (1)중국 당나라 고종의 황후(624?~705). 성은 무(武). 이름은 조(曌). 중국 역사에서 유일한 여제(女帝)로 고종을 대신하여 실권을 쥐고, 두 아들을 차례로 제왕의 자리에 오르게 하였으며, 스스로 제왕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주(周)로 고치고 성신 황제(聖神皇帝)라 칭하였다.
  • 여물재 : (1)음식이 목에 걸려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, 마음에 거리끼는 것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• 쇠돌징 : (1)지질 탐사에서 철광이 묻혀 있음을 보여 주는 징후. ⇒남한 규범 표기는 ‘쇳돌 징후’이다.
  • 징전비 : (1)지난날을 징계하여 후일을 삼간다는 뜻으로, 이전의 잘못을 거울삼아 같은 일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함을 이르는 말.
  • 구순 비 : (1)입술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증상.
  • 전위 징 : (1)무릎 진찰에서, 압박을 가할 때 정강뼈가 앞쪽이나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일. 앞쪽 미끄럼은 앞 십자 인대, 뒤쪽 미끄럼은 뒤 십자 인대가 느슨해지거나 찢어졌을 때 나타난다.
  • 백세지 : (1)사람의 죽은 뒤를 높여 이르는 말.
  • 심재 부 : (1)성장하는 나무에 목재 부후균이 서식하여, 심재의 재색과 경도가 변하는 현상.
  • 건조 부 : (1)마른 상태의 생물체가 부패하는 현상. 대부분 미생물에 의하여 일어난다.
  • 인순 왕 : (1)조선 명종의 비(1532~1575). 성은 심(沈). 1545년 왕비로 책봉되어 1567년 선조가 왕위에 오르자 잠시 수렴청정을 하였으나 이듬해에 그만두고 물러났다.
  • 낙지이 : (1)세상에 태어난 후.
  • 오염 징 : (1)오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하는 증거.
  • 네리 징 : (1)다리를 수동적으로 펼 때, 무릎이 저절로 굽혀지는 증상.
  • 효의 왕 : (1)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비(妃)(1753~1821). 10세 때에 세손빈(世孫嬪)으로 책봉되어, 장헌 세자의 비(妃) 혜경궁 홍씨를 잘 섬겨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며, 정조 즉위 후 왕비로 책봉되었다.
  • 가능 징 : (1)생식기에 나타나는 임신의 징후. 월경의 중지, 외음부 및 질의 변화, 자궁의 확대, 유방의 비대, 유두 착색 등이 나타난다.
  • 발정 징 : (1)동물의 발정이 시작되면 겉으로 나타나는 징후.
  • 해양 기 : (1)대양이나 섬에서 잘 나타나는 기후. 바다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변화가 적고 습도가 높으며, 구름과 강수량이 많다.
  • 융유 황 : (1)중국 청나라 광서제의 황후(1868~1913). 엽혁나랍씨(葉赫那拉氏)이며, 서태후가 고모이다. 슬하에 자녀가 없어서 광서제가 죽은 뒤 애신각라부의를 양자로 들여 선통제로 즉위하게 했다. 시호는 효정륭유관혜신철협천보성경황후(孝定隆裕寬惠愼哲協天保聖景皇后)이다.
  • 정희 왕 : (1)조선 세조의 비(妃)(1418~1483). 성은 윤(尹). 예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수렴청정을 하였으며, 성종이 즉위한 후에도 7년간이나 섭정하였다.
  • 버드 징 : (1)폐포 충낭에서 청진 시에 숨소리는 없는데 타진에서 둔탁음이 있는 부위가 존재하는 현상.
  • 건조 기 : (1)강수량이 증발량보다 적어 매우 건조한 기후. 중위도 고압대의 대륙 중앙부에서 볼 수 있으며, 초원 기후와 사막 기후로 나눈다.
  • 종차이 : (1)지금부터 그 뒤.
  • 경성 왕 : (1)고려 덕종의 비(?~1086). 성은 김(金). 김현종과 그 비인 원순 숙비(元順淑妃)의 딸이다. 덕종과는 이복 남매간이다. 왕비에 책봉된 해에 덕종이 사망하였으며, 소생은 없다. 능은 질릉(質陵)이다.
  • 면작 기 : (1)계절풍 기후의 한 유형.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고, 겨울에는 건조하다.
  • 문명 왕 : (1)신라 태종 무열왕의 비(?~?). 성은 김(金). 이름은 문희(文姬). 김유신의 누이이며 문무왕의 어머니이다.
  • 효의 황 : (1)발해 제3대 문왕의 비. 중국 길림성(吉林省) 화룡시(和龍市) 용두산(龍頭山) 발해 고분군에서 묘가 발견되어 알려졌다.
2 3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98개) : 하, 학, 한, 할, 핡, 함, 합, 핫, 항, 해, 핵, 핸, 햄, 햇, 행, 향, 허, 헉, 헌, 헐, 험, 헛, 헝, 헤, 헥, 헬, 헴, 헵, 헷, 헹, 혀, 혁, 현, 혈, 혐, 협, 형, 혜, 혬, 호, 혹, 혼, 홀, 홈, 홉, 홍, 홑, 화, 확, 환, 활, 황, 홰, 홱, 횅, 회, 획, 횟, 횡, 효, 후, 훅, 훈, 훌, 훍, 훔, 훗, 훙, 훠, 훤, 훨, 훰, 훼, 휀, 휑, 휘, 휙, 휠, 휨, 휭, 휴, 흄, 흉, 흐, 흑, 흔, 흘, 흙, 흠, 흥, 흨, 희, 힁, 히, 힐, 힘, 힝, 힠

실전 끝말 잇기

후로 시작하는 단어 (2,160개) : 후, 후ㅅ보롬, 후가, 후가계산, 후가속 전극, 후가스, 후가지, 후가하다, 후가황, 후각, 후각감각, 후각 감퇴, 후각 감퇴증, 후각 결절, 후각 곁 구역, 후각계, 후각 고랑, 후각 과민증, 후각구, 후각기, 후각 기관, 후각 기능 측정법, 후각 기원판, 후각끈, 후각뇌, 후각 뇌 고랑, 후각 뇌구, 후각뇌실, 후각 다리, 후각 동물 ...
후로 시작하는 단어는 2,160개 입니다.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, 후로 끝나는 네 글자 단어는 288개 입니다.

🦉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?